기사 메일전송
[이동훈 변호사의 알법알법] '공유물분할소송'
  • 이동훈 변호사
  • 등록 2025-02-28 00:00:04
  • 수정 2025-05-16 09:32:32

기사수정
  • - 복잡한 공동소유의 해법을 찾아서


어느 날 갑자기 유산을 물려받거나 가족과 공동으로 재산을 소유하게 되었을 때 행복한 순간도 잠시, 곧 현실적인 문제들이 하나둘 고개를 들기 시작한다.


"이 땅을 어떻게 나눠야 하지?" "누가 관리해야 할까?" "팔아야 할까, 계속 보유해야 할까?"


이런 질문들은 공동소유자 간의 첨예한 의견 충돌로 이어지곤 한다. 이처럼 공동 소유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가 바로 '공유물분할소송'이다. 이는 단순한 법적 절차가 아닌, 각 소유자의 권리를 명확히 하고 재산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법적권리다.


공유물분할소송은 본질적으로 '함께 소유하던 것을 따로 소유하기' 위한 방법이다. 상속받은 부동산, 공동 구매한 자산, 혹은 기타 공유 재산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을 때, 권리를 주장하고 법원의 판단을 통해 공정하고 명확한 분할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유물분할의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현물분할'로 공유 재산을 물리적으로 나누어 각자의 몫을 현물로 받는 방식이다. 넓은 토지를 지분에 맞게 구획하여 나누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모든 재산이 깔끔하게 나눠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파트 한 채는 물리적으로 분할할 수도 없다. 이럴 때는 '경매분할'이나 '가액분할'이 대안이 된다.


경매분할은 공유 재산을 법원의 경매를 통해 매각하고, 그 대금을 지분에 따라 분배하는 방식이다. 시장 가격보다 낮게 팔릴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지만, 현금화를 통해 명확한 청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액분할은 한 소유자가 다른 소유자들의 지분을 금전으로 매입하는 방식이다. 전문가의 감정평가를 통해 공정한 가격이 산정되므로 원하는 소유자가 전체 재산을 취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공유물분할소송은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법적 절차다. 먼저 공유 재산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각 소유자의 지분을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등기부등본, 계약서, 세금 납부 내역 등 관련 서류를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핵심이다.


소장 작성 시에는 원하는 분할 방식과 그 이유를 명확히 기재해야 한다. 법원은 이를 토대로 피고 측에 소장을 송달하고, 변론기일을 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감정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재판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변론기일에는 양측의 입장이 충분히 개진되며, 법원의 중재 하에 합의가 시도된다.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판부는 최종 판결을 내리게 되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가 진행된다.


결국, 공유물분할소송은 단순한 재산 나누기가 아닌, 복잡한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 각자의 재산권을 명확히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감정적 대립이 첨예해질수록 법적 절차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복잡해지는 재산 관계 속에서, 공유물분할소송은 저마다 정당한 권리를 지키는 든든한 법적 무기가 될 수 있다. 분쟁 상황에서 냉정함을 유지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체계적으로 접근한다면, 공정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이는 글

성균관대 법학과를 졸업한 이동훈 변호사는 충북대에서 법학전문석사과정을 마쳤다. 로엘법무법인을 거쳐 현재 능곡역지역주택조합 자문변호사, 인천작가회의 자문변호사, 뉴스아이즈 고문변호사를 맡고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