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문화숲길
국립산림과학원이 숲길 걷기가 도시에서의 일반 걷기보다 정서적·신체적 건강 효과가 크다는 연구 분석 결과를 내놨다. 주 3시간 이상 '어려움' 등급의 숲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운동 지침을 충족한다는 것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숲길 2km 구간을 약 30분간 걸었을 때 도시에서 걷는 것보다 부정적 기분 상태가 평균 35.0% 낮았다"며 "40~60대 여성들이 숲길에서 운동하면 노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소(SOD) 수치가 실내 운동보다 높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숲길은 경사도, 노면 상태, 길이 등에 따라 '매우 쉬움'부터 '매우 어려움'까지 5단계로 구분된다.
'어려움' 이상 숲길을 주 3시간 이상 걷는 것만으로 WHO가 권장하는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활동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2회 근력 운동을 병행하면 권장 운동량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025년 기준 전국에는 8,400여 노선, 4만km에 달하는 숲길이 고시돼 있다. 산림청은 국가숲길, 명품숲길, 동서트레일 등 지역 생태와 특색을 반영한 숲길을 관리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이현진 연구사는 "숲길 걷기의 신체적, 심리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숲길이 일상 속 건강한 운동 습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