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신이 아닌 인간', 고요한 반란을 일으킨 사유하는 《혁명가 붓다》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4-30 00:00:02

기사수정
  • - 깨달음 이후, 무엇을 해야 하는가?
  • - 신화를 벗긴 한 인간, 실천하는 붓다의 이야기
  • - 고요한 반란을 일으킨 사유의 혁명가

법륜 지음 / 정토출판 / 17,800원붓다는 왜 왕자의 삶을 버리고 고행의 길을 택했는가? 깨달음을 얻은 뒤 그는 왜 개인의 자유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를 변화시키려 했는가? 지금 이 시대에도 붓다의 질문은 여전히 유효한가?


정토출판에서 수행과 실천을 동시에 강조하는 법륜 스님의 사유가 담긴 《혁명가 붓다》를 펴냈다. 붓다의 신화적 이미지를 벗긴책으로 고통을 직시하고, 사회적 구조를 뒤흔든 사유와 실천의 혁명가로 붓다를 되살려낸다.


왕궁에서 풍요롭게 자랐지만, 삶의 고통을 목격한 싯다르타는 "하나가 살기 위해 다른 하나가 죽어야 하는가? 함께 살아갈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을 품고 길을 떠난다. 법륜 스님은 이 질문이야말로 붓다 삶의 출발점이었다고 강조한다.


극한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붓다는 개인적 자유에 만족하지 않고,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전법에 나선다. "누구든지 깨달으면 붓다가 될 수 있다"는 그의 선언은 기존의 계급질서와 신분 제도를 송두리째 흔드는 혁명이었다.


붓다는 여성의 출가를 허용하고, 평등한 공동체를 세우며, 모든 인간이 존엄하다는 가르침을 설파했다. "부처의 법 안에서는 모두가 하나다" "백성을 외아들처럼 사랑하라"는 붓다의 가르침은 차별과 폭력에 익숙한 당시 인도 사회에 대한 통렬한 반란이었다.


법륜 스님은 붓다의 길을 따라가며, 깨달음은 결코 머무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임을 일깨운다. "깨달음을 얻었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오늘의 독자들에게 던진다.


이 책은 붓다의 탄생부터 열반까지, 인간 붓다의 발자취를 역사적 사실과 시대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복원했다. 신화 대신 인간으로, 신격 대신 수행자로, 붓다를 만나는 이 여정은 우리에게 다시 묻는다. 기후위기, 전쟁, 빈부격차, 소비주의가 만연한 이 시대에 붓다라면 어떤 변화를 선택할 것인가?


법륜 스님은 붓다를 통해 '깨달음은 사유를 넘어선 실천'임을, 그리고 '진정한 혁명은 인간의 마음에서 시작된다'고 힘주어 말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