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폴 오스터의 마지막 소설 《바움가트너》···철학적 성찰과 문학적 유머 결합한 마지막 인사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4-21 00:00:01

기사수정
  • - 폴 오스터의 삶과 기억을 꿰뚫는 철학적 고백
  • - "우리는 작은 것, 그러나 우주를 구성하는 다른 수많은 작은 것들과 연결된 작은 것"

폴 오스터 지음 / 정영목 옮김 / 열린책들 / 17,800원우리는 왜 상실 뒤에도 삶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까? 당연한 슬픔이 있지만, 단지 슬픔만 있는 것은 아니다. 상실 속에서도 상상력의 힘으로 꿈의 힘을 발견하게 된다. 허구이지만 진실보다 더 강력한 그 무엇을.


열린책들에서 폴 오스터 1주기에 맞춰 그의 마지막 소설《바움가트너》를 펴냈다.〈떠오르는 미국의 별〉이라는 찬사 속에 데뷔해 반세기 넘도록 소설과 산문 모두에서 발군의 기량을 발휘한 작가다.


은퇴를 앞둔 노교수 사이 바움가트너를 통해 상실과 애도, 기억과 현재, 시간의 흐름과 삶의 의미를 내밀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바움가트너의 내적 여정은 40년 간의 결혼생활과 아내의 죽음을 넘어, 자신을 찾아가는 이야기로 펼쳐진다. "죽음을 앞둔 감각 속에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맺고 있는 관계와 그 각각의 개인들이 우리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전한다.


이 책은 단순한 상실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모든 일의 복잡하고도 중요한 '연결'을 이야기한다. 삶에서 사라져가는 것들을 바라보며, 그 속에서 변화를 받아들이는 힘을 찾을 수 있다.


그가 투병 중 끝을 예감하며 쓴 장편으로 상실과 기억, 현재와 시간의 흐름에 대한 내밀한 사유를 풀어냈다. 그가 평생 다뤄온 글쓰기와 허구, 그리고 우연의 미학을 깊이 탐구하며 독자들에게 큰 울림을 준다.


"우리는 작은 것, 그러나 우주를 구성하는 다른 수많은 작은 것들과 연결된 작은 것"이라며 그의 소설은 삶을 가득 채우는 부재와 지속되는 상실의 기록이다. 폴 오스터의 깊은 철학적 성찰과 문학적 유머가 결합된, 마지막 인사와도 같다.


폴 오스터는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 시인, 번역가, 시나리오 작가다. 1947년 미국 뉴저지주 폴란드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컬럼비아대에서 문학을 전공했다. 모턴 도언 제이블상, 펜/포크너상, 메디치 해외 문학상, 아스투리아스 왕자상 등을 받았다. 소설《브루클린 풍자극》《신탁의 밤》《환상의 책》《동행》《공중 곡예사》《거대한 괴물》《우연의 음악》《달의 궁전》《폐허의 도시》에세이《낯선 사람에게 말 걸기》《빵 굽는 타자기》시나리오 《마틴 프로스트의 내면의 삶》《다리 위의 룰루》 등을 썼고 《자크 뒤팽》《스테판 말라르메》《장폴 사르트르》등의 작품을 번역했다. 2024년 4월 30일 향년 77세로 세상을 떠났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