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한 그릇 더!'를 외치게 하는 비법《수연이네 삼형제 완밥 레시피》
  • 정해든
  • 등록 2025-01-01 00:00:03
  • 수정 2025-02-10 22:29:41

기사수정
  • - 건강한 재료, 쉬운 조리법, 효율적인 레시피 3원칙
  • 유수연 지음 / 21세기북스 / 28,000원


인스타그램에서 68만 팔로워의 마음을 사로잡은 3형제 엄마 '수연이네'가 첫 요리책 《수연이네 삼형제 완밥 레시피》을 선보였다. 3살, 4살, 5살 삼형제를 키우는 워킹맘인 저자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103가지 메뉴를 담았다.


한 번에 준비하는 온가족 맞춤식 레시피


13개월 된 첫째의 이유식을 시작으로, 저자는 세 아이와 어른의 식사를 한 번에 준비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남편의 제안으로 시작할 때만해도 걱정 반, 기대 반이었지만, 지금은 가장 자랑스러운 육아 성과가 됐다.


요리하는 엄마의 수고와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아이들은 새로운 재료를 자연스럽게 접하며 밥투정과 편식을 극복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온 가족이 도란도란 둘러앉아 함께 식사하는 시간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수확이다.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간편한 레시피


맛있는 요리를 위한 다양한 팁이 담겨있다. 온가족 식사를 처음 시도할 때 주의할 점, 아이와 어른 모두를 만족시키는 재료와 조리의 황금 비율, 매콤한 양념장 비법, 남은 재료 활용법 등 누구나 맛있는 요리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성장기 아이들의 영양 균형을 위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메뉴를 구성했다. 고기, 생선, 달걀, 두부 등으로 단백질을 보충하고, 제철 채소로 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도록 했다.


다른 반찬 없이도 한 그릇으로 충분한 메뉴, 캠핑이나 나들이에 어울리는 요리, 편식하는 아이도 즐겁게 먹을 수 있는 특별 레시피 등도 있다. 


'수연이네 완밥식'은 세 가지 원칙이 있다. 건강한 재료, 쉬운 조리법, 효율적인 레시피다. 저자는 SNS에 가족의 일상적인 식탁 풍경을 공유하면서 시작했다. 편식 없이 잘 먹는 아이들의 모습에 많은 부모들이 공감했고, 요리 과정을 담은 짧은 영상이 큰 호응을 얻으며 3개월 만에 10만 팔로워를 달성했다. 현재는 육아와 살림의 희로애락을 함께 나누는 엄마들의 소통 공간이 됐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작약과 공터 진저리가 날 만큼 벌어질 일은 반드시 벌어진다작약은 피었다갈비집 뒤편 숨은 공터 죽은 참새 사체 옆 나는살아서 작약을 본다어떨 때 보면, 작약은목 매 자살한 여자이거나불가능한 목적지를 바라보는 슬픈 태도 같다.아이의 허기 만큼이나 빠르게 왔다 사라지는 계절작약은 울먹거림.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 살아서 작약을 보고 있...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명년 봄 파도는 순해지고 풀이 돋고 목덜미의 바람이 기껍고 여자들의 종아리가 신나고 신입생의 노트에 새 각오가 반짝이고 밥그릇과 국그릇 위로 오르는 김이 벅차고 앉은뱅이가 일어나고 상처는 아물고 커피가 맛있고 입맛이 돌고 안되던 드라이브가 되고 시인도 시인이 되고.... 시인도 다시 시인이 되고 혁명이 오고 봄, -장석남 시인의 시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사랑하는 별 하나 나도 별과 같은 사람이될 수 있을까.외로워 쳐다보면늘 마주쳐 마음 비춰 주는그런 사람이 될 수 있을까.나도 꽃이 될 수 있을까.세상 일이 괴로워 쓸쓸히 밖으로 나서는 날에가슴에 화안히 안기어눈물짓듯 웃어 주는하얀 들꽃이 될 수 있을까.가슴에 사랑하는 별 하나를 갖고 싶다.외로울 때 부르면 다가오는별 하나를 갖고 싶다.마음 어두.
  4. [송형선의 희망공간] 마음속에 또다시 짙푸른 4월을 새기며 몇 주전이다. 3월이 가고 4월이 왔다. 잔뜩 움츠린 꽃봉오리들도 활짝 폈다. 기세등등한 꽃들의 기세로 완벽한 봄이 돌아왔다. 그 사실을 증명하듯 산과 들에 꽃향기가 출렁거렸다. 3월부터 핀 산수유, 목련, 개나리에 진달래, 이름 모를 꽃들까지 산과 들판에 향연이 펼쳐졌다. 바다 건너 제주에도 마찬가지였다. 유채꽃이 만개했다. 그야말로...
  5. [지창영의 시와 사회] 그 눈가에 맺힌 이슬 전야(前夜)는 특정한 일이나 사건이 일어나기 바로 전 시기나 단계를 뜻한다. 전야는 보통 변화를 앞두고 있으므로 설렘을 동반하기도 하고 다부진 각오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선거만큼 변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것도 흔치 않다. 선거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사회에 일정 부분 변화가 일기도 한다. 그러나 그간 있었던 선거가 우리 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