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한 그루의《나무》가 들려주는 인생의 비밀은?
  • 정해든
  • 등록 2024-12-24 00:00:04

기사수정
  • - '퍼펙트 데이즈' 주인공 히라야마가 머리맡에 놓고 읽는 책

고다 아야 지음 / 차주연 옮김 / 책사람집 / 16,800원


죽음을 앞둔 작가는 왜 13년간 나무를 찾아 헤맸을까? 86세 작가의 마지막 산책에서 발견한 생명의 진실은?

책사람집출판사에서 요미우리문학상 수상작가 고다 아야의 유작 《나무》를 출간했다. 일본 근대문학의 거장 고다 로한의 딸이자 신초샤문학상 수상자인 저자가 13년 6개월에 걸쳐 완성한 걸작이다.

"한 해는 겪어봐야 확실하다. 적어도 계절마다 한 번은 봐두어야 무슨 말을 할 수 있다"는 말처럼 책은 홋카이도에서 야쿠시마까지 일본 전역의 나무를 찾아 떠난 깊이 있는 기록을 담고 있다.


자연 관찰을 넘어선 인생에 대한 통찰이 담겼다. 절의 소나무, 전원의 녹나무, 봄의 꽃나무와 겨울 숲까지, 각각의 나무는 탄생과 소멸, 기쁨과 슬픔이라는 삶의 본질적 순간들을 담아낸다. 저자는 나무와의 조우를 통해 인간 존재의 근원적 의미를 탐색한다.

'가문비나무의 갱신'으로 시작해 '포플러'로 마무리되는 이야기들은 저마다 고유한 생명력과 더불어 우리 삶의 희로애락을 담고 있다.


말년의 작가가 북쪽 홋카이도에서 저 남쪽 야쿠시마까지 나무를 찾아 정성껏 기록하고 오롯이 새긴 감동을 전한다. 따듯하면서도 거침없는 관찰자의 시선이 출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고단샤, 신초샤, 헤이본샤 등 일본의 대표 출판사들이 새로운 장정으로 재출간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섬세하게 포착한 이 책은 현대인들에게 삶의 본질을 되돌아보게 하는 귀중한 안내서가 되고 있다.


고다 아야는 1904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54년 《검은 옷자락》으로 요미우리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흐르다》로 신초샤문학상과 일본예술원상을, 1973년 《싸움》으로 제12회 여류문학상을 받으며 일본 현대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1990년 86세로 생을 마감했으며, 이 책은 그의 마지막 작품이다.


차주연은 일어일문학을 전공하고 일본문화학을 공부했다. 《플랜던 농업학교의 돼지》 《동중국해 문화권》 《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 등을 옮겼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작약과 공터 진저리가 날 만큼 벌어질 일은 반드시 벌어진다작약은 피었다갈비집 뒤편 숨은 공터 죽은 참새 사체 옆 나는살아서 작약을 본다어떨 때 보면, 작약은목 매 자살한 여자이거나불가능한 목적지를 바라보는 슬픈 태도 같다.아이의 허기 만큼이나 빠르게 왔다 사라지는 계절작약은 울먹거림.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 살아서 작약을 보고 있...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명년 봄 파도는 순해지고 풀이 돋고 목덜미의 바람이 기껍고 여자들의 종아리가 신나고 신입생의 노트에 새 각오가 반짝이고 밥그릇과 국그릇 위로 오르는 김이 벅차고 앉은뱅이가 일어나고 상처는 아물고 커피가 맛있고 입맛이 돌고 안되던 드라이브가 되고 시인도 시인이 되고.... 시인도 다시 시인이 되고 혁명이 오고 봄, -장석남 시인의 시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사랑하는 별 하나 나도 별과 같은 사람이될 수 있을까.외로워 쳐다보면늘 마주쳐 마음 비춰 주는그런 사람이 될 수 있을까.나도 꽃이 될 수 있을까.세상 일이 괴로워 쓸쓸히 밖으로 나서는 날에가슴에 화안히 안기어눈물짓듯 웃어 주는하얀 들꽃이 될 수 있을까.가슴에 사랑하는 별 하나를 갖고 싶다.외로울 때 부르면 다가오는별 하나를 갖고 싶다.마음 어두.
  4. [송형선의 희망공간] 마음속에 또다시 짙푸른 4월을 새기며 몇 주전이다. 3월이 가고 4월이 왔다. 잔뜩 움츠린 꽃봉오리들도 활짝 폈다. 기세등등한 꽃들의 기세로 완벽한 봄이 돌아왔다. 그 사실을 증명하듯 산과 들에 꽃향기가 출렁거렸다. 3월부터 핀 산수유, 목련, 개나리에 진달래, 이름 모를 꽃들까지 산과 들판에 향연이 펼쳐졌다. 바다 건너 제주에도 마찬가지였다. 유채꽃이 만개했다. 그야말로...
  5. [지창영의 시와 사회] 그 눈가에 맺힌 이슬 전야(前夜)는 특정한 일이나 사건이 일어나기 바로 전 시기나 단계를 뜻한다. 전야는 보통 변화를 앞두고 있으므로 설렘을 동반하기도 하고 다부진 각오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선거만큼 변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것도 흔치 않다. 선거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사회에 일정 부분 변화가 일기도 한다. 그러나 그간 있었던 선거가 우리 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