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도착
  • 어향숙 시인
  • 등록
  • 수정 2025-05-11 01:09:55

기사수정


이름도 무엇도 없는 역에 도착했어

되는 일보다 안 되는 일 더 많았지만


아무것도 아니면 어때

지는 것도 괜찮아

지는 법을 알았잖아

슬픈 것도 아름다워

내던지는 것도 그윽해


하늘이 보내준 순간의 열매들

아무렇게나 매달린 이파리들의 자유

벌레 먹어

땅에 나뒹구는 떫고 이지러진

이대로

눈물나게 좋아

이름도 무엇도 없는 역

여기 도착했어


-문정희 시인의 시 '도착' 전문


 이 시는 문정희 시인의 시집 《오늘은 좀 추운 사랑도 좋아》 에 실려있다.


 가끔 나름 열심히 살아온 것 같은데 어느날 돌아보면 "이름도 무엇도 없는 역에 도착" 한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기대했던 것 만큼 일이 잘 안 풀렸을 수도, 남들은 앞서 가는데 나만 뒤쳐졌다고 실망할 때도 있다.


 그러다 달리 생각해보면 "하늘이 보내준 순간의 열매들" 이 있었고, 아무렇게나 매달리고 나뒹굴 수 있는 자유도 누렸다. 좀 벌레 먹으면 어떻고, 떫고 이지러지면 어떻는가. 이렇게 좋다고 생각하면 또 다 좋은 거 같기도 하다.


 '스토아철학'에서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일에 대해 걱정하지 말자." 라고 가르친다. 아모르 파티(Amor Fati), 즉 "운명을 사랑하라." 고 한다. 


 시처럼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다. 나무와 같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살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과거의 상처를 받아들이고 주어진 환경에 최선을 다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지혜도 필요할 것 같다.

덧붙이는 글

어향숙 시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김유정 신인문학상'(2016)을 받았다. 시집으로 《낯선 위로가 눈물을 닦아주네》가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작약과 공터 진저리가 날 만큼 벌어질 일은 반드시 벌어진다작약은 피었다갈비집 뒤편 숨은 공터 죽은 참새 사체 옆 나는살아서 작약을 본다어떨 때 보면, 작약은목 매 자살한 여자이거나불가능한 목적지를 바라보는 슬픈 태도 같다.아이의 허기 만큼이나 빠르게 왔다 사라지는 계절작약은 울먹거림.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 살아서 작약을 보고 있...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인가 그대가 밀어 올린 꽃줄기 끝에서그대가 피는 것인데왜 내가 이다지도 떨리는지그대가 피어 그대 몸속으로꽃벌 한 마리 날아든 것인데왜 내가 이다지도 아득한지왜 내 몸이 이리도 뜨거운지그대가 꽃 피는 것이처음부터 내 일이었다는 듯이.-김선우 시인의 시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인가' 전문 이 시는 김선우 시인의 시집 《내 몸...
  3. [아이즈인터뷰] 여덟 번째 시집 《날혼》 출간 김수열 시인의 시세계 여덟 번째 시집이 널리 읽히기를 바라며 건강을 여쭙습니다. 네! 이렇게 만나게 돼서 고맙고 반갑습니다.제주도에 오면 꼭 들러야 할 곳을 이유와 함께 소개해 주십시오. 글쎄요, 제 생각입니다만, 제주에는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나'라고 기억되는 장소도 많지만 그 이면에는 '이렇게 아플 수 있나' 생각되는 장소도 참 많은 ...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명년 봄 파도는 순해지고 풀이 돋고 목덜미의 바람이 기껍고 여자들의 종아리가 신나고 신입생의 노트에 새 각오가 반짝이고 밥그릇과 국그릇 위로 오르는 김이 벅차고 앉은뱅이가 일어나고 상처는 아물고 커피가 맛있고 입맛이 돌고 안되던 드라이브가 되고 시인도 시인이 되고.... 시인도 다시 시인이 되고 혁명이 오고 봄, -장석남 시인의 시 '...
  5. [송형선의 희망공간] 마음속에 또다시 짙푸른 4월을 새기며 몇 주전이다. 3월이 가고 4월이 왔다. 잔뜩 움츠린 꽃봉오리들도 활짝 폈다. 기세등등한 꽃들의 기세로 완벽한 봄이 돌아왔다. 그 사실을 증명하듯 산과 들에 꽃향기가 출렁거렸다. 3월부터 핀 산수유, 목련, 개나리에 진달래, 이름 모를 꽃들까지 산과 들판에 향연이 펼쳐졌다. 바다 건너 제주에도 마찬가지였다. 유채꽃이 만개했다. 그야말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