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하나은행 "당근, 지역 밀착형 금융서비스한다"···'당근머니 하나통장' 출시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3-25 09:47:18
  • 수정 2025-03-25 12:14:37

기사수정

하나은행, 지역 밀착형 금융서비스 제공 위한 '당근머니 하나통장' 출시

하나은행이 '당근'과 '당근페이'를 접목한 '당근머니 하나통장'을 출시했다.


3사가 지역 커뮤니티 기반 비즈니스 창출을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 후 시행하는 첫 서비스로, 지난해 9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됐다. 


통장은 선착순 57만 명 한해 발급이 가능하다. 하나은행은 '당근머니 하나통장'을 통해 생활금융 영위를 사용자 기반으로 특화시켜 '내 동네 맞춤형 금융혜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통장은 당근페이의 선불충전금인 '당근머니'를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안전하게 보관하고, 우대금리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당근페이 사용자는 사용실적에 따라 300만 원까지 최고 연 3.0%(세전)의 금리혜택을 매월 제공 받을 수 있다.

 

출시 기념으로 풍성한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먼저, 추천인 코드를 통해 통장과 체크카드를 모두 발급 연결한 손님에게는 추천인과 추천인의 친구에게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4,000원 당근머니를 지급한다. 


추첨을 통해 호텔 숙박권, 휴대폰 기기, 모바일 커피쿠폰 등 경품도 지급할 예정이다. '당근머니 하나 체크카드' 첫 발급자 대상으로, 이벤트 기간 내 '내 동네'로 설정한 지역 또는 스타벅스 매장에서 2,000원 이상 결제 시 2,000당근머니 캐시백 혜택도 제공한다.

 

하나은행 리테일본부는 "당근·당근페이와 함께 지역 특화형 생활금융 상품을 내놓아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내 지역, 내 동네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하고 지속적으로 지역 상생을 도모할 생활 밀착형 금융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