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도 특사경, 미신고 미용업소의 불법 시술 등 집중 수사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3-17 08:50:01
  • 수정 2025-03-17 14:28:36

기사수정
  • - 12개 시군 150개 업소 대상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이 3월 17일부터 28일까지 고양 · 부천 등 도내 12개 시군 내 150개 미용업소를 대상으로 공중위생 불법행위를 집중 수사한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이 3월 17~28일 고양·부천 등 도내 12개 시군 내 150개 미용업소를 대상으로 공중위생 불법행위를 집중 수사한다.


최근 오피스텔과 원룸 등 대도시 상가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속눈썹 연장·펌, 메이크업, 네일, 피부미용 등 미신고 미용업소의 불법 시술이 성행하고 있어 단속이 시급했다.

 

미신고 미용업 영업, 미용업 변경신고 미이행, 무면허 미용업 개설 및 종사, 무면허 의료행위 등을 수사한다.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르면, 미용업 미신고 영업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미용업 변경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미용사 면허 없이 미용업을 개설하거나 종사할 경우 3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의료인이 아닌데 의료행위를 하면 의료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기이도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장은 "이번 집중 수사를 통해 도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공중위생 관리 강화를 위해 힘쓰겠다"며 "도민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강력하게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도의 누리집, 콜센터, 특사경 카카오톡 채널 등에서  제보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