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우국충심에 잠 못 드는 이순신의 '한산도'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6-05 06:00:01
  • 수정 2025-06-15 11:06:45

기사수정

6월 3일 대통령선거를 마치고서야 안도와 평화와 웃음이 찾아왔다. 물론 12·3비상계엄을 일으킨 내란의 주종범들은 정의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그래야 정의가 선다. 그래야 우리의 피 속에 정의가 산다.

 

새로 뽑힌 대통령을 보면서 지도자를 생각해 본다. 그의 말과 눈과 얼굴과 몸짓을 보면서 어떤 교육을 받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생을 더듬어 본다. 그 안에서 도전과 좌절, 실패와 성숙함을 가늠해 본다. 고민하고 고뇌하며 불면의 밤을 지샜을 삶을 짐작해 본다. 홍수가 났는데도 퇴근하는 전임자로서는 감히 상상도 못할 일이다.

 

지도자는 장수와 같아야 한다. 정확한 상황 판단, 과감한 실행력, 심모원려와 부하에 대한 애정에서 통하는 데가 있다. 


우리는 이순신을 알고 있다. 고작 13척의 배와 사기 잃은 군인으로 어떻게 열 배가 넘는 왜적과 싸워 이겨 백성을 구하고 나라를 지켰을까? 지도자는 걱정만 하면 안 된다. 부하들의 막연한 두려움을 용기로 바꿔 전투에서 이겨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고민과 불면의 밤이 계속된다. 시조 한 편을 보자.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아래는 이순신의 시조 '한산도'다. 우국충심으로 전전반측 하는데 달빛에 부딪쳐 빛나는 긴 칼을 보는 장수의 마음을 상상하며 읽어보기를 권한다.(5언절구. 운자(韻字)는 모, 고, 도)

 

閑山島


水國秋光暮    수국추광모 

驚寒雁陣高    경한안진고 

憂心輾轉夜    우심전전야 

殘月照弓刀    잔월조궁도 

 

바다에 가을빛 깊어 가고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지어 높이 난다.

우국충심에 잠 못 들어 뒤척이는 밤

칼날 같은 그믐달빛이 활과 칼을 비추네.


잔월(殘月)은 대부분 '새벽달'로 해석하는데 실상 새벽 달빛은 힘이 없다. 그러면 어떻게 그 달빛이 칼날을 빛나게 한단 말인가? 나라 걱정, 전투 걱정에 밤을 지새는데(기러기 '떼'가 아닌) 칼날과 그믐 달빛의 휜 모양에 서로 호응하며 날카롭게 빛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