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천5.3민주항쟁 39주년 기념행사 개최
  • 옥효정 기자
  • 등록 2025-05-04 16:33:58
  • 수정 2025-05-04 16:46:43

기사수정
  • - 인천5.3민주항쟁 39주년 기념 계승대회


인천5.3민주항쟁 39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주최로 3일 오후 5시 미추홀구 주안동 시민공원에서 열렸다.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인천5.3민주항쟁 계승대회는 이민우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의 대회사와 공로자 표창장 수여, 황효진 인천시 정무부시장과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의 축사, 김광호 민주노총인천본부 본부장과 박인규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공동대표의 연대사 순으로 진행됐다. 공로자 표창장(인천시장상)은 5.3구속자가족협의회에서 활동해 온 김명자 씨가 수상했다.

 

참가자들은 5.3인천시민선언문을 통해 “1986년 5월 3, 녹색의 봄날 이 나라 민주주의는 전두환 군사독재 군홧발 아래 참혹하게 짓눌려 있었다라면서 바로 그때 민주와 노동해방을 염원하는 인천시민들이 80년 광주민중항쟁 이후 최대 규모의 반독재 민주화 횃불을 들었다라고 당시를 상기했다.

 

이어 인천5.3민주항쟁은 87년 6월항쟁, 7·8월 노동자대투쟁으로 이어졌고이후에도 그 정신은 세월호 진상규명윤석열 비상계엄 해제윤석열 퇴진으로 이어지는 시민 민주주의의 역사로 이어졌다고 강조하면서 겨레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굳센 시민 연대로 나아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참가자들은 차별과 위험을 넘어 평등하고 안전한 일터로 경쟁과 양극화를 넘어 함께 잘사는 사회로 분단과 전쟁을 넘어 통일된 평화의 한반도로 생태계 파괴를 넘어 공존과 상생의 지구로 나아갈 것을 결의했다.

 

본 행사에 앞서 오후 4시에는 인천5.3민주항쟁 정신 계승 행진을 했다참가자들은 시민공원을 출발해 주안역을 거쳐 다시 시민공원까지 행진하며 인천5.3민주항쟁을 알리는 한편 인천5.3민주항쟁 정신 계승 구호를 외쳤다.

 

인천5.3민주항쟁은 1980년 5월 3전두환 군부독재에 빼앗긴 주권을 되찾기 위한 인천시민의 민주화운동으로 이듬해인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자 시발점이 되었다. 2023년 8월에 인천5.3민주항쟁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2(정의)에 추가되어 개정공포되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 기사에 1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작약과 공터 진저리가 날 만큼 벌어질 일은 반드시 벌어진다작약은 피었다갈비집 뒤편 숨은 공터 죽은 참새 사체 옆 나는살아서 작약을 본다어떨 때 보면, 작약은목 매 자살한 여자이거나불가능한 목적지를 바라보는 슬픈 태도 같다.아이의 허기 만큼이나 빠르게 왔다 사라지는 계절작약은 울먹거림.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 살아서 작약을 보고 있...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발을 씻으며 발을 씻으며 / 황규관사람이 만든다는 제법 엄숙한 길을언제부턴가 깊이 불신하게 되었다흐르는 물에 후끈거리는 발을 씻으며엄지발톱에 낀 양말의 보풀까지 떼어내며이 고단한 발이 길이었고이렇게 발을 씻는 순간에 지워지는 것도또한 길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때로는 종달새 울음 같은 사랑을 위해언젠가는 가슴에서 들끓는 대지를험한...
  3. GC녹십자, 전량 수입하던 탄저백신 국산화···세계 최초 더 안전한 재조합 단백질 방식으로 개발 GC녹십자가 생물테러 등 국가위기 상황 대비를 위해 질병관리청과 공동 개발한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의 품목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2023년 식약처에 품목허가신청서를 신청, 이달 8일 자로 국산 신약 39호로 배리트락스의 품목허가를 획득한 것이다. 탄저균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생존이 가능해 공기 .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인가 그대가 밀어 올린 꽃줄기 끝에서그대가 피는 것인데왜 내가 이다지도 떨리는지그대가 피어 그대 몸속으로꽃벌 한 마리 날아든 것인데왜 내가 이다지도 아득한지왜 내 몸이 이리도 뜨거운지그대가 꽃 피는 것이처음부터 내 일이었다는 듯이.-김선우 시인의 시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인가' 전문 이 시는 김선우 시인의 시집 《내 몸...
  5. [아이즈인터뷰] 여덟 번째 시집 《날혼》 출간 김수열 시인의 시세계 여덟 번째 시집이 널리 읽히기를 바라며 건강을 여쭙습니다. 네! 이렇게 만나게 돼서 고맙고 반갑습니다.제주도에 오면 꼭 들러야 할 곳을 이유와 함께 소개해 주십시오. 글쎄요, 제 생각입니다만, 제주에는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나'라고 기억되는 장소도 많지만 그 이면에는 '이렇게 아플 수 있나' 생각되는 장소도 참 많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