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5.3민주항쟁 39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사)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주최로 3일 오후 5시 미추홀구 주안동 시민공원에서 열렸다.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인천5.3민주항쟁 계승대회는 이민우 (사)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의 대회사와 공로자 표창장 수여, 황효진 인천시 정무부시장과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의 축사, 김광호 민주노총인천본부 본부장과 박인규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공동대표의 연대사 순으로 진행됐다. 공로자 표창장(인천시장상)은 5.3구속자가족협의회에서 활동해 온 김명자 씨가 수상했다.
참가자들은 5.3인천시민선언문을 통해 “1986년 5월 3일, 녹색의 봄날 이 나라 민주주의는 전두환 군사독재 군홧발 아래 참혹하게 짓눌려 있었다”라면서 “바로 그때 민주와 노동해방을 염원하는 인천시민들이 80년 광주민중항쟁 이후 최대 규모의 반독재 민주화 횃불을 들었다”라고 당시를 상기했다.
이어 인천5.3민주항쟁은 87년 6월항쟁, 7·8월 노동자대투쟁으로 이어졌고, 이후에도 그 정신은 세월호 진상규명, 윤석열 비상계엄 해제, 윤석열 퇴진으로 이어지는 시민 민주주의의 역사로 이어졌다고 강조하면서 “겨레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굳센 시민 연대로 나아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참가자들은 △차별과 위험을 넘어 평등하고 안전한 일터로 △경쟁과 양극화를 넘어 함께 잘사는 사회로 △분단과 전쟁을 넘어 통일된 평화의 한반도로 △생태계 파괴를 넘어 공존과 상생의 지구로 나아갈 것을 결의했다.
본 행사에 앞서 오후 4시에는 인천5.3민주항쟁 정신 계승 행진을 했다. 참가자들은 시민공원을 출발해 주안역을 거쳐 다시 시민공원까지 행진하며 인천5.3민주항쟁을 알리는 한편 인천5.3민주항쟁 정신 계승 구호를 외쳤다.
인천5.3민주항쟁은 1980년 5월 3일, 전두환 군부독재에 빼앗긴 주권을 되찾기 위한 인천시민의 민주화운동으로 이듬해인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자 시발점이 되었다. 2023년 8월에 인천5.3민주항쟁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2조(정의)에 추가되어 개정, 공포되었다.
이 기사에 1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관련 영상 ==>
https://youtu.be/pSX4JbQAGb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