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식약처, 어린이·청소년 급식시설서 '소비기한 지난 제품 사용' 등 식품위생법 위반 30곳 적발
  • 박영준
  • 등록 2025-04-17 09:25:08
  • 수정 2025-04-17 12:07:52

기사수정
  • - 봄 신학기 전국 4만4천여 곳 집중점검…30곳 행정처분 예정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봄 신학기 어린이 · 청소년 대상 급식시설과 식품판매업소 4만4,289곳을 점검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30곳을 적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봄 신학기를 맞아 어린이·청소년 대상 급식시설과 식품판매업소 4만4,289곳을 점검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30곳을 적발했다.


2월 24일부터 3월 31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시·도 교육청이 함께 학교와 유치원 집단급식소, 식재료 공급업체 1만747곳,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3만3,542곳을 점검했다.

 

적발된 30곳에는 집단급식소 6곳, 위탁급식업체 1곳, 급식소 식품판매업체 12곳,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11곳이 있었다. 주요 위반 내용은 ▲소비기한 경과 제품 사용 또는 진열·보관(10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8건) ▲시설기준 미달(7건) ▲건강진단 미실시(2건) ▲보존식 미보관(2건)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1건)이다.

 

식약처는 점검과 함께 조리식품 및 도구 1,270건을 수거해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검사했으며, 현재까지 완료된 1,244건은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6건은 검사 진행 중이며,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적발된 집단급식소는 향후 6개월 내 재점검을 실시하며,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는 현재 전국 2,037명이 활동 중인 '어린이 기호식품 전담관리원'이 상시 관리해 개선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