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언어의 뿌리 캐 문해력·독해력 높이는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정해든
  • 등록 2025-03-04 00:00:06

기사수정
  • - 말에 얽힌 역사와 문화, 어원의 비밀 탐구
  • - 단어의 시작 알면 세상 보는 시야 넓어진다

장인용 지음 / 그래도봄 / 22,000원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단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단어의 어원을 알면 그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언어의 변화와 융합 과정을 통해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히고 싶다면?


그래도봄에서 인문학적 탐구를 통해 언어와 문화의 깊이를 조명한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를 펴냈다. 


이 책은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단어들에 담긴 어원과 역사, 문화적 맥락을 탐구하며 언어의 본질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저자 장인용은 30여 년 출판인으로 활동하며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 언어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한다.


책은 7부로 구성됐다. 각 부는 언어의 변화와 융합 과정을 다양한 사례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경제’와 ‘사회’ 같은 일본 번역 한자어나 ‘단지(團地)’와 ‘고수부지(高水敷地)’ 같은 표현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언어가 시대와 환경에 따라 어떻게 진화했는지 탐구한다.


저자는 "단어의 본질을 탐구하는 여정은 말에 새겨진 과거의 흔적을 찾는 일이기에 옛날이야기 같은 재미가 있다"고 말한다. 독자는 나무, 물고기, 채소, 과일 이름의 유래부터 지명과 종교 용어, 동음이의어나 첩어에서 찾은 언어적 단서까지 폭넓게 다룬 내용을 통해 말에 담긴 역사와 문화를 발견할 수 있다.


1부에서는 '뜻이 바뀌어 새로 쓰이는 말'을 다루며 '깡통'과 '깡패'처럼 외래어와 한자의 결합 사례를 소개한다. 2부에서는 '숙맥'이나 '얌체'처럼 뜻이 역전된 단어들을 통해 언어의 적응성과 유연성을 보여준다. 3부에서는 물고기 이름이나 음식 이름 등 일상 속 단어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하며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7부에서는 '다반사'나 '이판사판'처럼 종교에서 사용한 용어들이 현대에 와서 어떻게 변형되고 정착했는지 흥미롭게 풀어낸다.


저자는 "언어의 뿌리를 이해하면 문해력과 어휘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독자들에게 단순히 어휘를 외우는 것을 넘어 언어를 깊이 이해하고 활용할 것을 권한다.


장인용은 대학에서 중문학을, 대학원에서 중국미술사를 공부했다. 국제교류재단과 뿌리깊은나무를 거쳐 지호출판사에서 30년 가까이 출판 일을 했다. 《식전》 《주나라와 조선》 《한자본색》 등을 썼으며 《중국 미술사》를 옮겼다. 젊은 시절 금문(金文)을 공부하며 고문자학에 입문했고, 한국 문화계의 심미적 천재로 불린 한창기 사장에게 국어 관련 이야기를 들으며 국문학적 소양을 쌓았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