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설] 적어도 오늘은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날짜 잡아야
  • 손병걸 시인
  • 등록 2025-03-24 08:05:07
  • 수정 2025-03-24 11:43:48

기사수정

KTV 캡처

국회가 가결한 '윤석열 탄핵소추'의 최종변론이 2월 25일 끝났다. 그러나 곧 이어질 것 같던 선고가 오리무중이다. 기다리고 기다리다 한 달을 거의 채웠다. 


이 기간 대한민국은 어떻게 되었는가? 정치는 차치하고 경제, 산업, 그동안 차곡차곡 쌓아온 사회적 합의, 하물며 초등생 등교까지 그야말로 혼돈 그 자체다. 


10차에 걸친 변론을 봐도 그렇고 선명한 영상 증거가 차고 넘친다. 사안이 복잡하지 않다는 걸 국민이 다 안다. 법조계 여론도 국민 목소리와 다르지 않다.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이들도 실상 선거에 돌입한 듯한 언행들을 많이 한다. 이는 선고 결과를 충분히 눈치채게 한다. 


그런데도 헌법재판소는 선고 날짜조차 발표하지 않고 있다. 오늘은 후순위로 접수한 '한덕수 탄핵심판'을 10시경 선고한다고 한다. 무슨 일이든 순서가 있다. 단추를 끼우고 옷을 입을 수 없는데도 그렇게 하면 억지 또는, 바보 취급을 받는다. 


애초 가장 먼저 '윤석열 탄핵심판'을 선고할 것이라 한 곳이 바로, 헌법재판소다. 그러나 다음 주 다음 주 하며 기다린 시간이 한 달이다. 그 사이 베일에 싸인 채 이러저러한 추측성 보도들이 홍수처럼 쏟아졌고 정확하지 않은 그 보도 홍수는 대한민국을 침몰시킬 만큼 부풀어 올랐다. 


오늘은 적어도 헌재가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날짜를 내놓아야 한다. 헌법을 헌법대로 진행하지 않는 건 헌재의 직무유기다. 일부는 "재판 과정이 정치"라고 한다. 그러나 재판이 정치라면, 법은 본질을 놓치는 것이다. 그럼에도 현실이 정치적 영향을 받고 있다면, 정치적 힘의 균형이 아니라, 상식적이어야 한다.


"나라가 엉망진창이다"는 시민들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심지어 인용이든 기각이든 빨리 결론을 내놓으라는 목소리도 있다. 너무나 명백한 사건 앞에서 지친 표현이다. 헌재가 차일피일 선고를 미룬 결과다. 


헌재는 물론이고 대한민국의 상식이 회복해야 한다. 또렷했던 판단력을 흐리게 하는 선고 날짜 미발표는 옳지 않다. 국내외 모든 복잡다단한 일이 선고 뒤 빠르게 자리를 잡아야 한다. 왜 국민을 지치게 하는가. 나라가 혼돈 속에서 허덕이는 것이 안 보이는가? 대통령 탄핵심판이 처음이라면 그나마 면죄부를 주겠지만 판례가 두 번이나 있었다. 


14일이 최장 시간이었다. 사안도 그때보다 많지 않은데 묵묵부답에 가까운 실정이다. 취재도 안 되고 취재랍시고 가짜뉴스가 횡행하고 있다. 의도가 있든 없든 범죄에 가깝다. 더구나 시위도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더 이상 범법자들을 양산하지 말라. 혼돈의 대한민국을 관망하지 말라.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