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책임을 다하다
  • 어향숙 시인
  • 등록 2025-02-02 00:10:39
  • 수정 2025-02-03 20:59:40

기사수정



은행나무 가로수 한 그루가 죽었다. 죽는 데

꼬박 삼년이나 걸렸다. 삼년 전 봄에

집 앞 소방도로를 넓힐 때 포클레인으로 마구 찍어 옮겨심을 때 

밑둥치 두 뼘가량 뼈가 드러나는 손상을 입었다. 테를 두른 듯이 한 바퀴 껍질이 벗겨져 버린 것,

나무는 한 발짝 너머 사막으로 갔다.


이 나무가 당연히 당년에 죽을 줄 알았다. 그러나

삼년째, 또 싹이 텄다. 이런, 싹 트자마자 약식절차라도 밟았는지 서둘러 열매부터 맺었다. 멀쩡한 이웃 나무들보다 먼저 

가지가 안 보일 정도로 바글바글 여물었다. 오히려 끔찍하다, 끔찍하다 싶더니 이윽고 

곤한, 작은 이파리들 다 말라붙어버렸다. 나는

나무의 죽음을 보면서 차라리 안도하였으나,

마른 가지 위 이 오종종 가련한 것들

그만, 놓아라! 놓아라! 놓아라! 소리 지를 수 없다. 꿈에도 들어본 적 없는 비명,

나는 은행나무의 말을 한마디도 모른다.


-문인수 시인의 시 '책임을 다하다' 전문



이 시는 문인수 시인의 시집 《배꼽》에 실려있다.


인간은 언젠가 죽는다. 모두들 그 사실을 알고 있지만 깨닫지 못하고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그러다가 시한부 선고를 받게 되면 그제서야 삶의 소중함을 느끼고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게 된다.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밑둥치에 상처를 입은 은행나무도 죽음을 앞두고 더 서둘러 싹을 틔우고 끔찍할 정도로 바글바글 열매를 맺는다. 바라보는 화자는 그 모습이 애처로워 "그만,놓아라! 놓아라! 놓아라!" 소리치고 싶지만 차마 그러지 못한다. 나무의 말은 알아듣지 못해도 그 마음은 헤아릴 수 있어서다.


자연은 죽어가면서도 자신을 훼손한 인간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작가 맥스 어만(Max Ehrmann)은 수많은 별과 나무처럼 우리도 거대한 우주의 구성원이고,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런저런 한계에도 세상에 태어났으면 책임을 다하여 살아야 한다.


덧붙이는 글

어향숙 시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김유정 신인문학상'(2016)을 받았다. 시집으로 《낯선 위로가 눈물을 닦아주네》가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