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재명, 여당에 "추경 미루지 말라"···연금 개혁엔 "국민의힘 결단해야"
  • 손병걸 기자
  • 등록 2025-01-31 11:30:46
  • 수정 2025-01-31 12:21:24

기사수정
  • - "20조 원 추경 편성하면 경제성장률 0.2%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촉구하며, 연금 개혁에 대한 국민의힘의 결단을 요구했다.


이 대표는 "선별 지원이든 보편 지원이든 상관없다"며 "정부·여당이 추경을 거부한다면 민주당은 민생지원금도 포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3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다. "모건스탠리가 한국이 20조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면 경제성장률이 0.2%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며 "조기 집행만으로는 부족하며, 추경을 통해 민생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는 "국민의힘이 주장했던 연금 납부율 13%, 소득대체율 44%를 민주당이 수용할 의사가 있음에도 이제 와서 구조 개혁을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과 영수회담 때 연금 개혁안을 논의했지만, '다음에 하겠다'는 답변이었다'"며 "국민의힘에게 개혁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44%와 45% 차이로 개혁이 무산될 이유는 없다"며 "2월 내 모수 개혁을 마무리 짓자"고 촉구했다.

 

이번 설 연휴 전후로 민주당 지방정부들이 지역화폐를 발행한 것에 대해서는 "2,000억 원의 예산을 마련해 2조 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한 결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효과를 거뒀다"며 "정부도 이를 참고해 민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국민의힘이 극우 세력과 결합해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정치 방식은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없으며, 대한민국 정치 발전에도 해악이 된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