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계은행, 2025년 세계경제 성장률 2.7% 전망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1-17 09:36:50
  • 수정 2025-01-18 10:45:52

기사수정
  • - 선진국 1.7%, 신흥·개도국 4.1%로 안정적 성장 예상

세계은행이 1월 17일 2025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2.7%로 전망했다.17일 세계은행이 지난해 6월과 동일한 수준이라며 2025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2.7%로 전망했다. 


물가 안정과 통화정책 완화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았으나, 지정학적 긴장과 정책 불확실성 등 하방 위험이 지속될 것으로 본 것이다.

 

팬데믹 이전 평균(3.1%)보다 낮은 성장률이다.

 

선진국의 성장률은 1.7%로, 미국은 고용시장 둔화와 소비 심리 약화로 성장 속도가 완화될 전망이나, 유로존은 투자와 무역 개선으로, 일본은 자본투자 및 소비 증가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신흥·개도국의 성장률은 4.1%로, 중국은 국내 수요 약세로 둔화되는 반면, 인도와 남아시아권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러시아는 민간소비와 투자 둔화로 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정학적 긴장이 주요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하방 요인으로 정책 불확실성, 무역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물가 상승, 주요국 경기 둔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미국이 10% 보편관세를 추진할 경우, 상대국의 보복 조치 여부에 따라 세계경제 성장률이 각각 0.2~0.3%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무역 분절화와 개도국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금융 감독 강화,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출 합리화와 투자 균형 유지 등을 제안했다. 노동 포용성을 확대해 경제 안정성을 제고해야 한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