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비라이프, 중국 인민망 한국지사와 기사제휴 협약 체결
  • 편집국 편집장
  • 등록 2017-07-21 16:48:56

기사수정


▲ 인민일보 자회사인 인민망 한국지사와 소비라이프가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은 저우위보 인민망 한국지사 대표(왼쪽), 조정환 소비라이프 대표가 서명하고 포괄적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똑똑한 소비자를 위한 소비자중심의 정론지 소비라이프가 중국 인민일보 자회사인 인민망 한국지사와 기사제휴 등 포괄적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를 19일 체결했다.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저우위보(周玉波) 인민망 한국지사 대표, 조정환 소비라이프 대표,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상임대표 등이 참석하였다.

소비라이프는 2007년 소비자 입장에서 소비자문제를 해결하는 소비자단체인 ‘금융소비자연맹’과 ‘소비자권리찾기시민연대’의 자매지로서 창간되어 한국 최초의 소비자 전문지로서 월간 소비라이프Q와 인터넷신문 소비라이프를 발행하고 있다.

인민망(人民罔)은 중국 공산당 기관지로서 1945년 창간하여 중국 제1의 언론사인 인민일보의 자회사로 하루 3억8,000만명 이상 200여 국가의 네티즌에게 하루 평균 2만개 이상의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양사는 뉴스를 상호게재하고 기사를 공유하기로 하였고, 인민망은 소비라이프에서 발간하는 자매지 ‘소비라이프Q’에 중국소비자와 관련된 기사를 기고하기로 하였다. 또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여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 권익증진과 보호에 앞장서기로 하였다.

조정환 소비라이프 발행인은 “앞으로 인민망과의 협력을 통해 양국 소비자들의 힘을 모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춰 소비자문제를 해결하는 매체가 되겠다”고 말했다.

저우위보 인민망 한국지사 대표는 “주한 중국 교민들 역시 한국의 소비자이며 이들의 문제나 고충 해결에 인민망과 소비라이프가 소통의 창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소비라이프의 편집고문을 맡고 있는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상임대표는 “양국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문제와 국제 소비자문제 신속하게 소개할 수 있고, 상호 협력하여 양국 소비자의 권익증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sobiq.com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